가족생활교육
운영교수 |
김은혜 교수님 ![]() 이은혜 교수님 ![]() ![]() 안영선 교수님 ![]() ![]() 전혜정 교수님 ![]() |
||
---|---|---|---|
전공구분 | 전공 | 학점 | 3학점 |
정원 | 800명 | ||
수료기준 |
[2025-L2-1 기준]
중간:30% / 기말:30% / 출석:15% /
과제물:15% 퀴즈:5% / 토론:5% / 참여실습:0% |
||
![]() ![]() ![]() |
관련 전공 영역 | 학사 | 사회복지학 전공,아동학 전공 |
---|---|---|
전문학사 | 사회복지 전공,아동ㆍ가족 전공 | |
교양 |
바람직한 가족을 이루기 위한 가족생활교육의 전반에 대해 소개하고 이해를 도모하여 각 영역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행하는 절차를 학습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가족의 중요성과 역할, 기능에 대해 개괄적 이해를 선행한 후, 가족생활교육의 의미와 필요성, 발달과정을 살펴본다. 관계향상교육, 부모교육, 부모자녀교육, 성교육 등 가족생활교육 주요 영역의 원리와 이론 및 실제에 대해 학습하며, 가족생활교육의 관련 쟁점들을 분석하고, 실제 가족생활교육프로그램을 디자인해 본다. 마지막으로 가족생활교육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사회복지적 과제 및 전망,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고찰해 본다. 이를 바탕으로 급변하는 사회변화 속에서 역시 변화를 겪고 있는 가족의 구조 및 형태, 기능들에 대해 깊이 있게 인식하고, 가족생활교육의 이론과 지식을 응용하여 이에 대한 다양하고 적절한 가족생활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행할 수 있다.
가족이 점차 다양해짐에 따라 전통적 문화의 단위인 가족에 대한 규범적인 정의에서 벗어나, 가족의 삶의 영역도 개인과 마찬가지로 정신적, 직업적, 교육적 측면으로 보아야 한다. 가족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가족생활교육의 노력이 있어 왔으나. 향후 다양한 문화와 가족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을 재평가하고 전문적 영역으로 자리매김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가족생활교육 마케팅이나 매스미디어를 통한 아웃리치교육 등의 방법들은 향후 가족생활교육의 필요성이 계속적으로 증가하리라는 긍정적 전망에 기여할 것이다. 가족생활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학문적 명료화, 전문화, 프로그램의 다양화, 치료와 교육의 통합모델 개발, 가족생활교육사들에 대한 전문적 양성 등이 요구된다. 가족생활교육의 전문성 확보를 위해서는 학문 분야의 정체성을 확립해야하며, 가족생활교육의 핵심 지식을 정리하고 현장의 기준 확립을 통해 전문적으로 발전하는 것은 연구 영역과 가족생활교육 장려에 도움이 되고 가족생활교육의 명확한 정체성을 획득할 수 있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