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가정론
운영교수 |
김신영 교수님 ![]() 민동조 교수님 ![]() ![]() 이영옥 교수님 ![]() |
||
---|---|---|---|
전공구분 | 전공 | 학점 | 3학점 |
정원 | 800명 | ||
수료기준 |
[2025-L2-4 기준]
중간:30% / 기말:30% / 출석:15% /
과제물:15% 퀴즈:5% / 토론:5% / 참여실습:0% |
||
![]() ![]() ![]() |
관련 전공 영역 | 학사 | 사회복지학 전공 |
---|---|---|
전문학사 | 사회복지 전공 | |
교양 |
가정은 사회복지의 중요한 근간이자 사회유지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족 및 가정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건강한 가정을 이루기 위한 다양한 이론과 실제에 대해 학습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건강한 가정의 특성과 의미, 필요성, 사회와의 관계에 대해 살펴본다. 이후 건강가정에 대한 연구동향과 여러 이론들, 생애주기별 가정의 건강성에 대해 학습하고, 건강가정기본법 및 각종 건강가정정책과 서비스, 시설 등의 배경, 내용, 문제 등을 살펴보고 분석해 본다. 마지막으로 한국에서의 가정 및 가족의 변화를 사회변화의 흐름과 함께 고려하고, 앞으로의 건강한 가정을 만들기 위한 과제 및 전망을 알아보고 이를 위한 효과적인 사회복지적 대안을 고찰한다. 나아가 사회복지분야에서 건강한 가정 및 그 중요성을 깊이 있게 인식하고, 건강가정사업의 사회복지실천기술을 습득하여 자신의 가정에서부터 사회복지적 실천을 하고, 건강한 가정 만들기를 위한 각종 사회복지적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본 과목 수강을 통해 가족의 개념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토대로 가족이 건강하고 기능적으로 유지되기 위한 기본적인 가족이론과 건강가족을 위해 실천적, 정책적 접근방법에 관해 살펴보고 궁극적으로 건강가정사, 사회복지사 등 가족관련 전문가로서의 자질을 갖추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둔다. 1) 건강가족의 기초가 되는 가족관련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2) 건강가정 사업의 구체적인 내용에 관해 살펴보고 다양한 프로그램의 내용과 구성을 이해할 수 있다. 3) 건강한 가족을 위해 건강가정사 및 사회복지사들이 지녀야 할 실천기술에 어떠한 내용이 있는지, 또한 건강가정사로서 지켜야 할 윤리가 무엇인지에 관해 설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