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발생공학
운영교수 |
유치형 교수님 ![]() 박동철 교수님 ![]() |
||
---|---|---|---|
전공구분 | 전공 | 학점 | 3학점 |
정원 | 160명 | ||
수료기준 |
[2025-L2-2 기준]
중간:30% / 기말:30% / 출석:15% /
과제물:15% 퀴즈:5% / 토론:5% / 참여실습:0% |
||
![]() ![]() ![]() |
관련 전공 영역 | 학사 | 전기공학 전공 |
---|---|---|
전문학사 | ||
교양 |
에너지 자원에 대한 기본개념을 익히고, 발전(發電)의 기본이론을 숙지하며 그 종류를 이해한다. 이에 따라 본 교과목은 에너지 자원과 이용, 수력발전, 화력발전소, 원자력발전, 새로운 발전과 전력 저장, 송전 방식과 송전 전압, 선로 정수와 송전 특성, 고장 계산, 변전소 및 개폐소, 배전방식과 배전특성, 배전 선로의 관리와 보호, 전력계통 등을 세부적으로 배운다.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이 수용가에 전송되기 위한 시스템, 즉 전력계통(Power System)의 이론적 개념 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에너지 일반적인 사항부터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 방식(수력, 화력, 원자력, 새로운 발전과 전력 저장), 송배전방식, 전력 운용의 중심이 되는 변전 부분에 관한 기술 등 산업현장의 실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응용력을 길러 유능한 기술인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표가 있다. 구체적인 학습목표는 다음과 같다. 1. 전력계통의 개념을 이해하고, 송배전방식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전선의 종류를 구분해보고, 선정 방법과 설치할 때 고려해야 하는 이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선로정수와 인덕턴스에 대해 살펴보고, 코로나 방지 대책을 제시할 수 있다. 4. 송전선로의 특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5. 고장계산의 필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정전유도장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6. 이상전압의 종류와 발생과정을 살펴보고, 이상전압을 방지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7. 보호계전시스템에 대해 이해하고, 종류를 구분하여 적용해 볼 수 있다. 8. 변전소의 종류를 구분하고 기능과 각종 설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9. 배전계통에 대해 이해하고, 배전방식을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10. 배전선로의 전압강하를 알아보고, 전압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11. 배전선로의 전력손실과 경감 대책에 대해 살펴보고, 배전선로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을 제시할 수 있다. 12. 변압기와 자가용 수용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13. 에너지를 형태에 따라 분류해보고, 에너지 사용방법과 장단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14. 수력발전소와 수력발전 설비의 종류를 살펴보고, 수차의 종류와 특성을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15. 화력발전소의 종류를 살펴보고, 보일러의 구성과 증기 터빈의 원리 및 발전기의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16. 원자력의 안정성을 이해하고, 원자력발전소 사후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17. 신재생에너지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18. 전력저장시스템의 전력저장 기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